근무 기간 : 2022.06.01. ~ 2023.11.30 (6개월, 온라인)
채용 인원 : 2명
수행 업무 :
ㆍ정책 보고서(Policy Brief) 작성
“Financi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 of Sanitation and Wastewater Management Systems: Learning from Japanese Experience” 작성함. 개발도상국의 하수도 부족 문제를 분석하고 일본의 소도시 하수도 정화 시스템인 ‘Johkasou’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
ㆍ Textbook 작성
ADBI Technical Paper의 한 부분을 담당하여 작성함. Dr. Kumokawa의 “Financial aspects/ institutional/ regulator on site system-Johkasou” 강의를 바탕으로 작성
ㆍ 외부 회의 참여
Virtual Public Dialogue, Chubu University Webinar, ASCI workshop, MOEJ workshop
ㆍ 내부 회의 참여
Weekly Intern Meeting, CBT Department Meeting
소감 :
"저에게 ADBI 인턴십은 정말 좋았던 경험이었습니다. 가장 좋았던 점 두 가지를 꼽아 제 인턴십 경험 전반을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 번째는, 국제기관에서 정책 분석가가 하는 일에 대해 구체화 할 수 있었습니다. 국제기관에서 정책 분석가로 일을 하고 싶었던 저는 뛰어난 분석 능력과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춰야 일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Policy brief와 textbook을 작성하면서 그것은 업무를 경험해보지 않았던 저의 막연한 생각이었던 것 같습니다.
두 번째는, 팀에 함께 있는 다른 인턴십 참가자들을 보며 체계적으로 일을 진행하고 매듭을 짓는 모습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제가 있던 팀에는 저 포함하여 총 세 명의 인턴이 있었습니다. 각각 맡은 과업은 달랐지만, 매주 팀 회의에서 각자 진행하고 있는 업무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서로 맡은 주제가 달라 각자 진행하고 있는 업무의 내용을 듣는 것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지난주에 팀장님으로부터 받았던 피드백을 어떻게 반영했는지, 앞으로 어떻게 업무를 마무리 지을 것인지를 공유하는 점이 가장 좋았습니다. 다른 인턴들을 보면서 저도 체계적으로 일하는 방법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ADBI 인턴십을 하면서 제가 배운 교훈을 돌아보면, 경험 없이는 배울 수 없던 것 같습니다. 인턴십 지원에 앞서서 제 역량이 부족하지 않을지 걱정이 많아 지원서를 제출하기 어려웠습니다. 실패 없이는 얻는 것도 없으니 도전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탈락한다면, 본인의 역량을 높이는 계기로 삼으시고, 만약 인턴십을 시작하시게 된다면, 본인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경험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배워갈 점을 찾으시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인턴십을 시작하시는 분들에게 앞서 경험해본 사람으로 드릴 수 있는 조언은 적극적인 소통과 성실함이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자세인 것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 행정대학원 석사 송지민 -